(REST JWT) 소개

Claim기반 토큰의 개념

 API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입장에서 그 access_token을 통해서 사용자에 연관된 권한(예를 들어 scope같은 것)을 식별한 뒤 권한을 허용해주는 구조이다.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토큰을 가지고 그 토큰과 연관된 정보를 서버쪽에서 찾아야 한다. (사용자 ID나 권한등).
JWT는 Claim 기반이라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Claim이라는 사용자에 대한 프로퍼티나 속성을 이야기 한다. 토큰자체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방식인데, JWT는 이 Claim을 JSON을 이용해서 정의한다.
다음은 Claim을 JSON으로 서술한 예이다.이 JSON 자체를 토큰으로 사용하는 것이 Claim 기반의 토큰 방식이다.
{
  "id":"terry"
  ,"role":["admin","user"]
  ,"company":"pepsi"
}
<코드 1. JSON으로 Claim을 기술한 토큰의 형태 >
자 그렇다면, 이러한 Claim 방식의 토큰은 무엇이 좋을까? 이 토큰을 이용해서 요청을 받는 서버나 서비스 입장에서는 이 서비스를 호출한 사용자에 대한 추가 정보는 이미 토큰안에 다 들어가 있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가져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용자 관리” 라는 API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하다.
 이 API는 “관리자(admin)”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만이 접근이 가능하며,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그 관리자가 속해 있는 “회사(company)”의 사용자 정보만 관리할 수 있다. 라고 정의하자
이  시나리오에 대해서 일반적인 스트링 기반의 토큰과 JWT와 같은 Claim 기반의 토큰이 어떤 차이를 가질 수 있는 지 알아보도록 하자.


OAuth 토큰의 경우


<그림 2. String 토큰에 의한 API 권한 인증 흐름>

1.    API 클라이언트가 Authorization Server (토큰 발급서버)로 토큰을 요청한다.
이때, 토큰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넘기고, 이와 함께 토큰의 권한(용도)을 요청한다. 여기서는 일반 사용자 권한(enduser)과 관리자 권한(admin)을 같이 요청하였다.
2.    토큰 생성 요청을 받은 Authorization Server는 사용자 계정을 확인한 후, 이 사용자에게 요청된 권한을 부여해도 되는지 계정 시스템등에 물어본 후, 사용자에게 해당 토큰을 발급이 가능하면 토큰을 발급하고, 토큰에 대한 정보를 내부(토큰 저장소)에 저장해놓는다.
3.    이렇게 생성된 토큰은 API 클라이언트로 저장된다.
4.    API 클라이언트는 API를 호출할때 이 토큰을 이용해서 Resource Server(API 서버)에 있는 API를 호출한다.
5.    이때 호출되는 API는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Resource Server가 토큰 저장소에서 토큰에 관련된 사용자 계정, 권한 등의 정보를 가지고 온다. 이 토큰에 (관리자)admin 권한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API 호출을 허용한다. 위에 정의한 시나리오에서는 그 사용자가 속한 “회사”의 사용자 정보만 조회할 수 있다. 라는 전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PI 서버는 추가로 사용자 데이타 베이스에서 이 사용자가 속한 “회사” 정보를 찾아와야한다.
6.    API서버는 응답을 보낸다.


JWT와 같은 Claim 기반의 토큰 흐름을 보자



<그림 3. Claim 기반의 토큰을 이용한 API 권한 인증 흐름 >

1.    토큰을 생성 요청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를 인증한다음에, 토큰을 생성한다.
2.    다른 점은 생성된 토큰에 관련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토큰에 연관되는 사용자 정보나 권한등을 토큰 자체에 넣어서 저장한다.
3.    API를 호출하는 방식도 동일하다.
4.    Resource Server (API 서버)는 토큰 내에 들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가지고 권한 인가 처리를 하고 결과를 리턴한다.
결과적으로 차이점은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생성된 토큰을 별도로 서버에서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토큰을 사용하는 API 서버 입장에서는 API 요청을 검증하기 위해서 토큰을 가지고 사용자 정보를 별도로 계정 시스템 등에서 조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참고 : http://bcho.tistory.com/999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네트워크)폴링방식 vs 롱 폴링방식

(ElasticSearch) 결과에서 순서 정렬

(18장) WebSocekt과 STOMP를 사용하여 메시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