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네트워크인 게시물 표시

(네트워크) DHCP 프로토콜

이미지
*호스트 주소 흭득: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플러그 앤 플레이 프로토콜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임시 IP주소를 할당

(네트워크) 네트워크 주소 변환

이미지
일차원적으로 쉽게 설명하면, 일반 가정에서 쓰는 인터넷선으로 부여받은 ip로는 컴퓨터 한대밖에 인터넷이 안됩니다.  여기서 보통 여러대의 컴퓨터로 인터넷을 하려고 사용하는 것이 공유기 입니다. 공유기의 기능은 집으로 들어온 하나의 ip를 여러개의 ip주소로.... 각각의 이름(주소)이 다른 ip주소로 배분을 해줍니다. 이 배분해주는 기술을 NAT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이미지
해당 컴퓨터가 속해 있는  (로컬)  네트워크 구역 내에서는 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 (subnet mask) 만 있어도 주변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하다. 다른 네트워크 구역으로 나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터넷 등의 이기종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 (라우터 등) 가 있어야 하고,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와 함께 게이트웨이 주소까지 정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모든 컴퓨터마다 유일한 IP 주소를 할당해야 하듯, 게이트웨이에도 중복되지 않는 IP 주소가 필요하다. 이 IP 주소를 토대로 각 컴퓨터가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는 해당 네트워크 내 컴퓨터에 할당된 IP 주소 중 끝자리 (4번째 옥텟) 만 다른 형태다. 대게 1을 지정한다. 이를 테면 컴퓨터 IP 주소가 123.123.123.123이라면, 게이트웨이 주소는 123.123.123.1이 된다. 물론 게이트웨이 IP 주소 설정이 잘못되면 외부 네트워크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하다.

(네트워크) 서브넷 나누기

** 호스트와 물리적 링크사이의 경계는 '인터페이스'라 부른다. ** 라우터는 연결된 링크를 두 개이상 가져야 한다. ** 라우터와 이런 링크사이의 경계 역시 인터페이스라고하며(여러개의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 결국 IP주소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호스트나 라우터보다는 인터페이스와 관련이 있다. ** IPV4주소는 32비트(4바이트) ** 전 세계 인터넷에서 모든 호스트와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는 유일한 IP주소를 갖는다. 인터페이스의 IP주소는 연결된 '서브넷'이 결정 할 것이다. **223.1.1.0/24 (서브넷주소)인데, 여기서 /24는 서브넷마스크라부른다. 32비트의 왼쪽 24비트가 서브넷 주소라는 것을 가리킨다. * a.b.c.d/x 에서 즉, 외부기관인 라우터는 목적지 주소가 내부기관인 데이터그램을 전달할 때, 단지 앞의 x비트들만 고려, 라우터들에게 포워딩 테이블의 크기는 줄어든다. 주소의 나머지 32비트-x비트들은 기관 내부에 같은 프리픽스를 갖는 모든 장비들을 구별 이 하위 비트들은 추가 서브넷 구조를 가질 수 있따.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는 같은 서브넷에 있는 모든 호스트들에게 전달 *주소 블록 흭득 ISP의 블록   200.23.16.0/20   11001000   00010111   0001 / 0000 00000000 (20개비트까지가 한 서브넷) 조직 0         200.23.16.0/23   11001000   00010111   0001 / 000 / 0 00000000      조직 1        200.23.16.0/20   11001000   00010111   0001 / 001 / 0 00000000   조직 2 ...

(네트워크) FTP프로토콜

**HTTP와 FTP의 공통점: TCP상에서 동작   차이점: FTP는 한 파일을 전송하는데 두개의 TCP를 연결   즉, 제어연결(Control Connection)과 데이터연결(Data Connection)을 동시에 사용 1. 제어연결: 두 호스트간의 사용자계정, 비번, 원격디렉토리를 바꾸는 명령,파일을 보내고(put)가져오는 (Get)명령들과 같은 정보를 보내는데 사용 2. 데이터연결: 실제 파일을 보내는데 사용 *FTP가 별도의 제어연결을 사용하므로 FTP는 제어정보를 아웃밴드(Out-of-band)로 보낸다고 표현한다. *서버측은 제어연결 상에서 파일전송을 위한 명령을 받으면 클라이언트 측에게 TCP데이터연결을 초기화한다. FTP는 데이터연결을 통해 한 파일만 전송하고 그 연결을 닫는다 같은 세션시간동안 사용자가 다른 파일을 전송하려고 하면 FTP는 다른 데이터연결을 개통한다. *세션을 통해서 FTP서버는 사용자에대한 상태(State)를 유지해야 한다. 진행중인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유지하는 것은 FTP가 동시에 유지할 수 있는 전체 세션의 수를 상당히 제한시킨다. 반면에 HTTP는 사용자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없는 비상태유지(statless)어플리케이션이다.

(네트워크) HTTP프로토콜

이미지
* HTTP는 TCP를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한다. HTTP클라이언트는 먼저 서버에 TCP연결을 시작한다. 일단 연결이 이루어지면 , 브라우저와 서버프로세스는 그들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통해 TCP로 접속한다. *TCP가 HTTP에게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이것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가 발생시킨 모든 HTTP요청 메시지가 궁극적으로 서버에 잘 도착한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서버 프로세스가 발생시킨 각 HTTP응답메시지도 클라이언트에게 잘 도착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계층구조의 장점: HTTP는 데이터손실 또는 TCP가 어떻게 손실데이터를 복구하고 네트워크 내부에서 데이터를 올바른 순서대로 배열하는지 걱정 할 필요없다. 이것은 TCP와 프로토콜 스택 하위 계층들이 하는 일이다. *HTTP를 비상태 프로토콜(stateless protocol)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메시지를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어떤 상태정보도 저장하지 않는다. 만약 클라이언트가 몇초 후에 같은 객체를 두번 요청한다면 잠시전에 이미 그 객체를 보냈다고 해도 서버에게 알려주면 좋지만 서버는 이전에 한 일을 기억하지 못한다. <비지속연결 vs 지속연결> 1. 요구/응답쌍이 분리된 TCP연결을 통해 보내져야 하는가?---> 비지속연결 2.  요구와 해당하는 응답들이 같은 TCP연결상으로 보내져야 하는가?--->지속연결 비지속연결 HTTP:  HTTP클라이언트는 HTTP의 기본포트번호 80을통해 www.someschool.edu서버로 TCP연결을 시도한다. TCP연결과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각각 소켓이있게된다. HTTP클라이언트는 1단계에서 설정된 TCP연결소켓을 통해 서버로 HTTP요청메시지를 보낸다. 이 요청메시지는 /somedepartment/home.index 경로 이름을 포함한다. HTTP서버는 1단계에서 설정된 연결소켓을 통하여 요청메시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