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MySQL 샤딩

수평 분할과 샤딩

수평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이란 스키마(schema)가 같은 데이터를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나누어 저장하는 디자인을 말한다. 가령 같은 주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스키마가 같은 '서현동주민 테이블'과 '정자동주민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인덱스의 크기를 줄이고, 작업 동시성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보통 수평 분할을 한다고 했을 때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를 지칭한다.

샤딩은 물리적으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수평 분할 방식으로 분산 저장하고 조회하는 방법을 말한다. '주민' 테이블이 여러 DB에 있을 때, 서현동 주민에 대한 정보는 A DB에, 정자동 주민에 대한 정보는 B 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기능에 제약이 있을 수 있고(JOIN 연산 등) 일관성(consistency)과 복제(replication) 등에서 불리한 점이 많다. 예전의 샤딩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레벨에서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이를 플랫폼 차원에서 제공하려는 시도가 많다. 크게 분류하면 Hibernate Shards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하는 형태, CUBRID SHARD, Spock Proxy, Gizzard와 같이 미들티어(middle tier)로 동작하는 형태, nStore나 MongoDB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자체에서 샤딩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참고: http://d2.naver.com/helloworld/14822




4. MySQL Sharding

샤딩은 물리적으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수평 분할 방식으로 분산 저장하고 조회하는 방법을 말한다.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기능에 제약이 있을 수 있고(JOIN 연산 등) 일관성(consistency)과 복제(replication) 등에서 불리한 점이 많다. 과거의 샤딩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레벨에서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이를 플랫폼 차원에서 제공하려는 시도가 많다. 그중 미들티어에 샤딩 플랫폼을 둔 Gizzard, Spider, Spock Proxy에 대해 알아본다.



1) Gizzard

+ 개요
트위터(Twitter)에서 자체 개발한 데이터를 분산 환경에 쉽게 구성?관리하고, 장애 발생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오픈소스이면서 미들웨어다. Gizzard 의 핵심이 되는 것은 샤딩(Sharding)이라는 기술이다. 트위터에 따르면, 샤딩은 파티션과 복제라는 두 기술로 구성됐다. 파티션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해시 등을 사용해 여러 부분으로 나눔으로써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분산하는 것을 말하고, 복제는 한 데이터 복제를 다른 서버에 만드는 것이다. 데이터를 복제해 전체 탄력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대량의 액세스에 대해 복수의 서버가 동시에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아키텍처


 
그림 9 Replication

Gizzard는 데이터 저장소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위치해 모든 질의는 Gizzard를 통해 이뤄지고 있어 Gizzard가 분할?복제 키를 쥐고 있다.
 
그림 10 Gizzard Partition

① Gizzard 는 데이터 매핑 선행 테이블에서 데이터 조각을 관리한다. 키에 해당하는 값이 어디에 저장됐는지 샤드 정보를 갖고 있다. 특정 데이터에 관한 키 값을 해시 함수로 돌리고 결과값을 Gizzard에 전달하면, Gizzard는 해당 데이터가 어떤 구역에 속할지 숫자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함수는 프로그래밍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성향에 맞춰 지역성 혹은 균형성 면에서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림 11 Gizzard Replication

② Gizzard는 'Replication Tree'로 복제 데이터를 관리한다. 매핑 테이블이 지칭하는 각 데이터 조각들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물리적인 형태는 특정 데이터 저장소를 의미하고, 논리적인 형태는 데이터 조각에 관한 트리를 의미한다. 트리 안의 각 브랜치들은 데이터의 논리적인 변형을 나타내고, 각 노드들은 데이터 저장소를 의미한다.

③ Gizzard는 장애 상황에도 강한 시스템이다. 특정 파티션 내에 있는 복제 데이터가 유실됐을 지라도, Gizzard는 남은 다른 정상적인 복제 데이터 시스템에 읽기/쓰기를 전환 요청한다. 대응 시나리오는 데이터 조각 안의 특정 복제 데이터 불능이 발생하면 Gizzard는 최대한 빠르게 다른 정상적인 복제 데이터에 읽기/쓰기 작업을 시도해서 정상적인 응답을 주고, Gizzard 내부에서도 문제가 발생했던 복제 데이터가 정상으로 돌아오면, 변경 이력을 다시 적용해 동기화한다.


 
그림 12 Gizzard Migrations

④ Gizzard는 데이터 이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데이터 노드가 A에서 B로 이전한다고 가정할 때 Replicate 샤드가 A와 B 사이에 위치하고 Writeonly는 B 앞에 위치해서 A의 데이터를 B로 복제하게 된다. Writeonly 샤드는 B가 사용 가능한 시점까지 유지되다가 B가 사용 가능한 시점이 되면 WriteOnly는 빠지고 Replicate가 동시에 A와 B에 데이터를 복제하며 동기화해 준다.

 + 고려사항 Gizzard는 동일 데이터를 동시에 변경하려면 데이터 충돌(Confliction)이 발생한다. 그래서 Gizzard는 데이터가 적용 순서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모델링 시 반드시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2) SPIDER for MySQL
+ 개요
SPIDER는 Kentoku SHIBA가 개발한 스토리지 엔진이다. MySQL의 파티셔닝 기능을 사용해 파티션마다 다른 서버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Sharding 기능이 가능한 스토리지 엔진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가 다른 경우에도 조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었던 배경은 MySQL의 유연한 스토리지 엔진구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 아키텍처
 
그림 13 Spider for MySQL
Spider 는 위 그림처럼 테이블 링크를 통해 로컬의 MySQL 서버처럼 활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내부적으로는 클러스터의 약점인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하던 분산 환경에서의 조인과 트렌잭션 문제를 Spider가 해결해 준다. 더불어 Spider는 XA 트렌잭션과 테이블 파티셔닝을 지원한다. GPL 라이선스 정책을 갖고 있다. 여기에 병BR>+ 고려사항
① SPIDER 테이블을 드롭해도 데이터 노드의 데이터는 사라지지 않는다. SPIDER은 FEDERATED 스토리지 엔진과 마찬가지를 생성하는 스토리지 엔진으로 테이블 DROP 때는 링크만 제거된다. 더불어 TRUNCATE 명령문은 원격 MySQL Server의 데이터를 모두 클리어해 버리므로 주의하자.
② MySQL Cluster처럼 Spider도 파티션을 전제로 한 스토리지 엔진이기 때문에 Distribution Awareness를 고려한 설계를 해줘야 한다.
③ 전체 텍스트 검색과 R-Tree 인덱스를 지원하지 못한다.




3) Spock Proxy

+ 개요
Spock Proxy는 MySQL Proxy를 바탕으로 제작된 샤딩 플랫폼이다. 데이터베이스들을 수평적 분할해 여러 샤드(shard)로 나눠줘 응용 프로그램들이 직면한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해 줬고, 이로써 데이터베이스는 성능과 확장성을 쉽게 높일 수 있다. 주요 역할은 Proxy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쿼리를 가로채 데이터가 분할된 기법에 따라 적절한 MySQL 서버에 쿼리를 전송한다. 이후 각 MySQL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모아 일반 MySQL 결과인 것처럼 클라이언트로 다시 전송한다.

+ 아키텍처

 
그림 14 Spock Proxy

Spock proxy는 MySQL DB의 Table(universal_db)에 샤딩 규칙을 저장한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SQL을 파싱해, 이 SQL에 shard key가 있는지 파악한다. 만약 shard key가 있다면 universal_db에 기록된 기준에 따라 MySQL 인스턴스를 찾아 SQL을 전달한다. 이런 방식을 사용할 경우 SQL에 shard key와 관련한 정보를 기술할 필요가 없는 장점으로 인해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 MySQL Proxy와 다른 점
Spock Proxy는 MySQL Proxy에서 갈라진 것이다. 코드의 많은 부분이 변경되지 않았지만 기반 아키텍처가 다르다.

① MySQL Proxy는 최적화를 위해 Lua 스크립트 언어를 지원하지만, Spock Proxy는 그렇지 않다. 성능상의 이유로 C/C++를 활용했다.
② MySQL Proxy는 각 클라이언트가 개별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인증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proxy 작업에 앞서 최소 연결을 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방법이다. Spock Proxy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독립된 서버 연결을 하도록 설계됐다.
③ Spock Proxy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연결을 분리해, 관리할 최소/최대 연결 크기를 허용한다. 시작 시에 proxy는 최소 연결 개 수만큼을 미리 연결해 놓는다.
④ 다중 서버 Send/Recv가 가능하다. 그래서 다수의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이 결과들을 합치는 것 또한 가능하다. 

+ 고려사항
Spock Proxy의 제약사항을 보면 쉽게 구현 단계에서 고려 사항들이 도출될 것이다 
① 데이터베이스들간의 조인이 불가능하다.
② 저장 프로시저와 트랜잭션 지원은 제한적이다.
③ 중첩 질의는 불가능하다.
④ SELECT에서 2개 테이블의 JOIN은 지원하지만, GROUP BY는 지원하지 않는다.
⑤ INSERT에서 칼럼명은 항상 표현돼야 한다.
⑥ MySQL 함수는 데이터들이 여러 파티션에 걸쳐 있는 경우 MAX, MIN, SUM, AVERAGE만 지원한다.
⑦ Spock Proxy는 read only (slave)와 read/write (master)를 구분하지 못한다.
⑧ auto_increment 값이 다르다.


5. 결론

MySQL은 다양한 방식의 스케일아웃을 지원하는 솔루션들이 있고, 지속적으로 개발?보완되고 있다. 중요한 건 우리가 용도에 적합한 솔루션들을 선택할 수 있는 혜안을 갖고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에 어느 정도 제약성도 있다는 점을 기획자들이 인지할 수 있게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활동도 필요하다. 거기에 DBA나 프로그래머들은 제약 사항 및 고려 사항들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운용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애플리케이션이든, 자체 미들웨어를 갖추든 보완하는 자세도 필요해 보인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에서 행해지는 MySQL을 보완해 주는 미들웨어들을 유심히 살펴본다면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네트워크)폴링방식 vs 롱 폴링방식

(ElasticSearch) 결과에서 순서 정렬

(18장) WebSocekt과 STOMP를 사용하여 메시징하기